본문 바로가기

fAntasize | 글/iNside sports

연맹, '프리미어'의 뜻은 숙지하고 있는가?

728x90

K리그 16개팀을 스코틀랜드 리그와 같은 스플릿시스템으로 변경하여 하위권 8팀중 4팀(하위팀 3팀, 상무)을 2부리그로 내려보낸다는 프로축구연맹(이하 '연맹')의 '12+4' 승강제가 좌초됐다.

16일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축구회관에서 이사회와 총회를 열어 1부리그 12팀의 구조를 2014년까지 점차 시행하는 방안으로 수정한 '14+2'형태의 승강제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상무를 제외하면 결국 성적으로 2부리그행이 결정되는 팀은 단 한 팀 뿐인 것이다.

리그의 경쟁력을 높이고 질적향상을 도모하며, 아시아축구연맹(AFC)의 지침에 따른 승강제를 2013년 도입하며 '12+4'의 혁신안을 내놓았던 연맹은 이러한 방안을 마련해 놓고 6개 시도민구단의 거친 반발에 부딪혔다.

6개 시·도민구단(대전,인천,대구,광주,경남,강원)이 선수단 규모와 재정적 여력에서 불리하다며 자신들이 불리하다는 입장을 내세워 '12+4' 승강제를 기업구단에 맞춘 일방적 승강제로 규정하고 K리그 탈퇴와 독립리그 창설을 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은 것이다.

그러면서 이들이 내놓은 절충안이 군인팀인 상주 상무를 무조건 2부로 떨어뜨리는 가운데 단 한 팀만이 2강등되는 '14+2' 승강제였고, 연맹은 결국 이러한 시·도민구단의 단체행동앞에 무릎을 꿇었다. 상무가 2부리그로 강등되는 이유는 AFC의 프로 클럽 자격에 미달하기 때문이다.

단 2개팀만 2부리그로 강등되며 연맹은 2013년부터 6~10개팀으로 2부리그를 운영한다고 모호한 답안을 발표했다. 몇 개팀이 2부리그에 참여할지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황이다.

결국 연맹은 제대로 된 2부리그 운영을 위해 '알아서' 팀을 모아야 하는 당면과제를 짊어지게 됐고, 2013년 한국프로축구는 2부리그보다 1부리그가 더 북적거리는 역피라미드 형태의 기형적인 모습을 띄게 됐다. 최악의 경우 6팀의 2부리그를 놓고 상위에 14팀의 1부리그가 각축을 벌이는 어이없는 저변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출범 첫해부터 제대로 된 형태를 띄지 못하는 2부리그 운영에 기존 1부리그팀들이 얼마나 승강제에 대한 책임감을 가질지도 의문이다. 이미 시행도 하지 않은 승강제를 두고 단체행동을 불사하며 연맹에 사실상의 협박과 압력을 가했고, 무기력하게도 연맹은 원안은 물론 수정안도 제시하지 못하고 두손 두발을 모두 들고 말았다.

당연히 강등되는 팀이 존재하는 2012년 시즌이겠지만 연맹이 주장했던 스플릿 시스템의 긴장감은 반감되다 못해 크게 위축될 것이다. 그리고 이미 승강제 실시와 관련해 시·도민 구단에게 철저히 굴복한 연맹이 앞으로의 제도 운영에서 얼마나 제 소리를 낼 수 있을지도 의심스럽다.

결국 프로축구 30년의 숙원이였던 승강제는 거창한 청사진에 비해 빛좋은 개살구로 마감된 채 실망스런 준비로 새 시즌을 맞이하게 됐다. 이미 대표팀 감독 경질등을 놓고 후진행정이라고 비난을 받은 대한축구협회에 이어 한국프로축구의 총본산인 프로축구연맹마저 헛걸음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2부리그의 명칭을 K리그로 바꾸고 현재 K리그를 가칭 프리미어 K리그로 바꾼다는 연맹의 발표를 보며, 과연 연맹이 '프리미어'의 뜻은 제대로 숙지하고 있는가 하는 씁쓸한 생각이 든다. 잘 준비되서 기대속에 진행되는 승강제가 아닌 어찌되던 잘 됐으면 좋겠다는 바램으로 맞이하게 된 2012년의 한국 프로 축구가 더욱 안타깝기만 하다.

 

 

문화저널21 / 2012년 1월 17일

 

728x90


Popular Posts
Calendar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250x250